반응형
[▶ [용어 정리] 비개발 직군 뉴비를 위한 실무 단어장 - 개발, QA편]의 뒤를 잇는 글.
운영, 마케팅, 프로젝트 매니징 등 플레이어와 밀접한 업무들은 웹 및 디자인과 뗄레야 뗄 수 없는 사이다.
신규 콘텐츠, 이벤트, 프로모션 등을 글로만 소개하기는 어렵기 뿐더러 주목도도 떨어지므로 내용을 시각화 해야하기 때문이다. 또 디자인된 작업물을 더욱 잘 보여줄 수 있는 공간(페이지)을 구축하고 플레이어에게 설렘과 즐거움을 선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해야 하는 경우도 많다.
그래서 이번 편에서는 웹, 디자인과 관련된 용어를 묶어 살펴보려한다.
웹
- CDN (Content Delivery/Distribution Network)
콘텐츠 전송 네트워크. 한 서버에서 콘텐츠를 뿌려주는 대신, 유저가 더욱 빠르게 콘텐츠를 접할 수 있도록 유저와 가까운 서버로 데이터를 분산시켜 전송한다. CDN 경로를 추출해 배너를 보여주는 식으로 활용 중이다. - DNS (Domain Name System)
사람이 읽기 쉽게 문자로 만들어진 도메인을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숫자(IP 주소)로 변환하는 시스템. - GNB (Global Navication bar)
어떤 페이지에 들어가든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메뉴로 메인 메뉴라고도 한다. - LNB (Local Navigation Bar)
GNB 클릭 시 나타나는 소제목 형식의 메뉴로 서브 메뉴라고도 한다. - SNB(Side Navigation Bar)
메인 메뉴, 서브 메뉴 이외의 하위 메뉴. 일반적으로 페이지 왼쪽에 자리잡고 있어 LNB (Left Naviagtion Bar) 라고도 한다. - FNB (Foot Navigation Bar)
페이지 하단에 위치한 메뉴를 가리키며 푸터 (Footer) 라고도 한다. - SB (Story Board)
사이트, 배너 등을 제작하는 데 필요한 정보가 담긴 설계서. - SSL (Secure Sockets Layer)
사이트, 브라우저 사이에 전송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인터넷 연결 상 보안을 유지하는 표준 기술. - 검색 엔진 최적화 (Search Engine Optimize, SEO)
검색 엔진이 자료를 수집하고 순위를 매기는 방식에 맞게 페이지를 구성해 검색 결과의 상위에 나올 수 있도록 하는 작업. - 동적 웹 페이지 (Dynamic Web Page)
스크립트를 통해 가공을 거쳐 출력하는 페이지. 유저의 행동, 유저가 과거 관심 있게 살펴본 광고 등에 따라 다른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. - 정적 웹 페이지 (Static Web Page)
서버에 미리 저장된 데이터를 그대로 불러오듯 전달하는 페이지. 유저가 항상 고정된 화면을 접한다. - 랜딩 페이지 (Landing page)
광고, 검색 엔진 등을 통해 유입된 사용자가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페이지. - 마크업 (Markup)
파일이 페이지에 어떻게 보일 것인지 나타내거나 데이터 구조를 묘사하기 위해 사용하는 문자 및 기호. - 마크업 개발자 (Markup)
파일을 페이지에 구조화하고 디자인에 맞게 표현하는 개발자. - 마크업 언어 (Markup Language)
태그 등을 이용해 문서, 데이터 구조를 명세하는 언어의 일종. - 반응형 웹 디자인 (Responsive Web Design)
하나의 레이아웃이 웹 브라우저에 맞춰지는 형태로 웹 브라우저의 가로폭에 따라 콘텐츠의 크기 및 배치가 자동으로 변화한다. - 적응형 웹 디자인 (Adaptive Web Design)
PC, 모바일 등 웹 브라우저가 동작할 기기 별 레이아웃을 정해놓고 조건에 따라 보여주는 페이지. - 웹 접근성 (Web Accessibility)
장애를 가진 사람과 장애를 가지지 않은 사람 모두가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방식. - 캐시 (Cache)
그림, 문서 등 후에 필요할 법한 페이지 요소를 보관하는 임시 저장소. 유저가 스스로 삭제해야 한다. - 캐싱 (Caching)
유저가 재방문했을 때 미리 저장해둔 데이터를 불러오는 것. - 쿠키 (Cookie)
특정 사이트에 접속했을 때, 로그인 정보같은 작은 파일을 저장하는 것. 만료 기간이 있어 자동 삭제된다. - 트래픽 (Traffic)
서버의 데이터 전송량으로 외부에서 해당 서버에 접속을 많이 시도할 수록 증가한다. - 파비콘 (Favicon)
브라우저 주소창, 즐겨잦기에 에 표시되는 아이콘으로 사이트나 페이지를 대표하는 이미지. - 플로팅 배너 (Floating Advertisement)
페이지 내 콘텐츠 위에 겹쳐 떠다니는 배너로 스크롤이 움직이는 대로 따라 이동해 늘 같은 곳에 위치한다.
디자인
- CMYK
시안, 마젠타, 노랑, 검정으로 구성된 감산 혼합 모형. 하양을 제외한 모든 색을 표현할 수 있으며 인쇄물에서 주로 사용된다. - RGB
빨강, 초록, 파랑으로 구성된 가산 혼합 모형. 빛의 혼합에 기초를 두어 액정, 모니터에 최적화되어있다. - HEX (Hexademical Color)
다양한 색상을 16진수 값으로 나타낸 것으로 #RRGGBB 형식을 따른다. (RR=빨강, GG=초록, BB=파랑) 색상 별 강도는 00~FF 범위로 표시한다. - 그라디언트 (Gradient)
색, 명암, 질감과 같은 가시적 속성이 점차 변화하는 것. 흔히 그라데이션이라고도 한다. - 그리드 (Grid)
눈금, 격자를 가리키며 디자인 상 영역을 구분짓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. - 누끼 (ぬき)
특정 이미지에서 배경을 제거하고 원하는 오브젝트만 남기는 것. - 래스터 (Raster)
그래픽 포멧의 일종.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기 위해 픽셀의 집합으로 이미지를 표현한다. (따라서 원본을 확대/축소하면 계단식으로 깨진다.) 비교적 사실적이고 자연스러운 묘사가 가능하지만, 해상도가 늘어날 수록 용량이 커진다. - 백터 (Vector)
그래픽 포멧의 일종. 자유롭게 크기를 조절해 편집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어 로고, 폰트, 아이콘 디자인 등에 자주 쓰인다. - 레이아웃 (Layout)
디자인적 요소를 제한된 공간 안에 보기 좋게 배열하는 것. - 목업 (Mock-up)
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전에 검토하기 위해 제작하는 실물 크기의 모형. 웹/게임 분야에서는 모니터나 휴대기기에 화면을 합성해 보여주는 경우가 대표적이다. - 산세리프 (San-serif)
획의 삐침이 없는 서체. - 세리프 (Serif)
획의 삐침이 있는 서체.
요즘 여러모로 정신이 없어 포스팅을 자주 못 하고 있다. 더 자주 들여다봐야지 😂
반응형